분류 전체보기

입사 후 3주간 진행한 프로젝트 회고 주요 사항 > 데이터는 1000만건이 들어있어 야한다. > 페이징 > 조회수 기능 추가 > OAuth2.0, 인증, etc… 나는 무엇을 고민했는가…? 조회 방법을 고민 내가 작성한 코드가 실제로 어떤 일들을 수행하는지를 알아야만 했다. Covering Index 와 QueryDSL 기반의 명시적인 sql statement 수행 general_log 테이블 활용 방법 알아내서 내가 어떤 쿼리를 발생시키는지 DB 레벨에서 직접 확인하기 스프링의 Transactional을 적용했을떄 어떻게 트랜잭션을 적용하는지 (SET AUTOCOMMIT =…..) #1 대댓글 게시판 : 글과 답글에 대한 CRUD (depth 1) 성능이 나와야하기 때문에 조회방법을 고민하게된다. 어떤..
· 자동화
# 서론 개발하다보면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SSH)해서 개발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그런 경우, 한두번이 아니라 자주 접속해야 한다. 이번에 내가 최소화려는 작업은 unix 운영체제의 alias를 적극 활용한다. (Alias 에 대한 설명은 SKIP) 보안은 각자&모두의 책임입니다. # 내가 자동화하려는 부분 접속 대상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찾는다 (기억하는건 고려대상에서 제외) ssh joohyukkim@192.123.456.789 -p 8412 (예시)와 같은 명령어 입력 비밀번호 입력 # 원하는 기대효과 마치 로컬 디렉토리를 cd(명령어)로 이동하듯이 서버에 ssh하기 # 원리 ssh 에서는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sshpass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sshpass ..
· Database
1. 후기 RDB를 사용하지 않는 곳은 찾기 힘들다. 심지어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RDB의 단점들도 찾아보면 많이 극복해나가고 있는 추세다. MySQL과 같은 RDB를 사용함으로써 누릴 수 있는 트랜잭션(ACID), 데이터 정합성 과 같은 개념들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서 레버리징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인 것같다. 서버개발자가 한번쯤은 꼭 읽고 넘어서야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과장을 조금 보태면 서버개발자로써의 나의 삶은 이 책을 읽기 전과 후로나뉜다. 하지만 내용이 정말 많다. 너무 중요한 내용들 이해하면 좋을 법한 내용이 많다. 1회 완독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이 들기때문에 처음 읽는 거라면 훑어보듯이 요점만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 Key Points - from volume..
스스로 무엇을 해야하나 싶을 때 불안함을 떨쳐내는 법 장기목표를 생각하고 장기목표와 나(행동,생각,습관,생활)를 일치시키기 그리고 다시 부지런히 움직이기
· 자동화
#1 서론 "인테리어를 하든 뭘 하든 기술자는 게으른 놈들이 더 잘한다." 한샘 부엌가구 시공팀에서 일 하던 시절, 저의 사수이자 스승인 형석이형이 저에게 거듭해서 하던 말입니다. 아직도 저는 형석이형의 그 말을 되새기며 빨리 (Fast) vs 잘 (Well) 효율 (efficiency) vs 효과 (effectiveness) 질 (Quailty) vs 양 (Quantity) 득 (gains) vs 실 (loss) 과 같은 것들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드는 기분입니다. #2 본론 + 결론 요즘보면 "배포-자동화, 테스트-자동화, 코드-포매팅 자동화, 심지어 개발-자동화 " 까지 자동화 툴들의 퀄리티가 엄청 뛰어납니다. 제가 "자동화" 카테고리에서 시작하고 싶은 내용들은 좀 더 개인적인 레벨의 자동화입니..
1. 시작하며 21년 11월부터 22년 4월까지 6개월 간 F-Lab의 멘토링을 수료했다. 그동안 여러 궁금증도 해소하고, 내 문제점들도 파악하고, 많은 개발자 분들과 교류도 하고, 크고 작은 서비스 회사에 면접을 보는 기회도 얻고, 운이 좋게도 그 중 몇몇에는 합격하기도 햇다. 정말로 치열한 백엔드 개발자 시장에서 합격한 대로 입사하는 마냥 쫓아가기만 하는 상황에서 선택이라는 사치를 아주 조금이나마 부릴 수 있는 정도는 된거 같고 어떻게 하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도 (hopefully) 익힌 것 같다. 약 반년 전 까지만해도 방황하던 나를 더 나은 상황에 있게 만들어준 F-Lab의 백엔드 개발자 멘토링에서 경험한 것들을 공유해본다. F-Lab의 멘토링을 고민하고 있을 또 다른 개발자분들께 조금이나..
· 개인노트
읽어보기 https://programmers.co.kr/pages/2022-dev-survey 2022 프로그래머스 개발자 설문조사 5362명이 참여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개발자들의 솔직한 의견을 확인하세요. programmers.co.kr
· 개인노트
나중에 읽어보기 https://survey.stackoverflow.co/2022 Stack Overflow Developer Survey 2022 In May 2022 over 70,000 developers told us how they learn and level up, which tools they’re using, and what they want. survey.stackoverflow.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