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 자동화
#1 서론 "인테리어를 하든 뭘 하든 기술자는 게으른 놈들이 더 잘한다." 한샘 부엌가구 시공팀에서 일 하던 시절, 저의 사수이자 스승인 형석이형이 저에게 거듭해서 하던 말입니다. 아직도 저는 형석이형의 그 말을 되새기며 빨리 (Fast) vs 잘 (Well) 효율 (efficiency) vs 효과 (effectiveness) 질 (Quailty) vs 양 (Quantity) 득 (gains) vs 실 (loss) 과 같은 것들의 경계를 아슬아슬하게 넘나드는 기분입니다. #2 본론 + 결론 요즘보면 "배포-자동화, 테스트-자동화, 코드-포매팅 자동화, 심지어 개발-자동화 " 까지 자동화 툴들의 퀄리티가 엄청 뛰어납니다. 제가 "자동화" 카테고리에서 시작하고 싶은 내용들은 좀 더 개인적인 레벨의 자동화입니..
· 개인노트
읽어보기 https://programmers.co.kr/pages/2022-dev-survey 2022 프로그래머스 개발자 설문조사 5362명이 참여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개발자들의 솔직한 의견을 확인하세요. programmers.co.kr
Contents 0. 시작하기 앞서 1. 주제 범위 좁히기 2. 주제는 "배달의민족 중계 서비스"로 정했습니다. 3. 유저 플로우를 정의했습니다. 4. 마치며.... 5. 참고 자료들 0. 시작하기 앞서 팀프로젝트 주제 선정은 왜 중요하고, 왜 어려울까요? 우선 주제는 명확할수록 개발 과정에서 협의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제는 프로젝트 이름에 반영되고 프로젝트 이름은 git repo와 소스 코드에 조금이라도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과거 여러 프로젝트들을 거치면서 나름의 주제 선정 전략을 다듬어왔고 이번 프로젝트 주제를 기대 이상으로 순조롭게 정할 수 있었습니다. 주제도 팀 전체가 만족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please!) 그래서 오늘은 이번에 적용해본 주제 선정 과정을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