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pring
Validation은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부분이다. 공식 홈페이지 ::: https://hibernate.org/validator/ Java에서는 null 값 접근에 대한 exception이 발생함으로, 이러한 부분을 방지 하기 위해서 미리 검증을 해야한다. 검증해야 필요성과 코드의 길이가 정비례로 많아진다. 비즈니스, 서비스 로직과는 다른 목적이므로 분리가 되야한다. 검증이 필요한 부분이 흩어져 있어 재사용의 한계가 있다. 구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지만, 검증 Logic이 변경 되는 경우 테스트 코드 등 참조하는 클래스에서 Logic이 변경되어야 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Spring 검증 아노테이션 2.프로젝트에 추가하기 URL ::: https://mvnrepository.com..
· Spring
Spring Spring에는 상당히 많은 프로젝트들이 존재한다. 단일 아키텍처 Monolithic에서 SpringCloud 활용 MSA 로 변환 많이 사용되는 것들로는 스프링부트 스프링 클라우드 스프링 데이터 스프링 배치 스프링 시큐리티 Spring의 과제는 "테스트의 용이성", "느슨한 결합"에 중점을 두고 개발 IoC의 등장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행) 스프링과 다른 프레임워크와 가장 큰 차이점이 IoC를 통한 개발 진행 AOP AOP를 사용하여 로깅, 트랜잭션 관리, 시큐리티에서의 적용 등 AspectJ와 같이 완벽하게 구현된 AOP와 통 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Java객체를 new로 생성하여 개발자가 관리하..
· Spring
Spring 테스트 클래스 어노테이션으로 @RunWith(SpringRunner.class) 또는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을 사용합니다. (required = 필수이기때문에) 우선 이 두가지 어노테이션의 공통점을 보면 두 어노테이션 모두 스프링 부트 테스트 기능과 Junit의 브릿지 역할을 한다는 것. 그래서 Junit에서 스프링 부트 테스트 기능을 사용할 때 반드시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두가지 어노테이션의 차이점은...? @RunWith 는 Junit 4 에서 사용하고, @ExtendWith 는 Junit 5 (Jupiter)에 적용이 됩니다. "아래는 Junit 5 (jupiter)를 gradle.build 파일에 사용하는 모습." ***클린 코드를 ..
CONTENTS 1. Intro 2. 자기점검 3. 개발자라면 지금부터 시작해야하는 것 4. 앞으로의 방향 1. Intro 내가 개발자로 커리어 전환을 결심한게 작년 2020년 4월 쯤, 1년4개월 정도 되어간다. 오늘은 나에 대한 자기점검을 하고 내가 생각하는 개발자가 취업, 이직, 기술 증진을 위한 필수 항목들에 대해 적어보려고한다. 2. 자기점검 내가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한 이후 나의 타임라인을 보자면 아래와 같다. 총 16개월 = 학원 5개월 + 취업준비 1개월 + 회사 10개월 > 2020년 4월 - 프로그래밍 전환 결심 - 국비지원 학원 등록 ( 고객 유치 확대를 위한 디지털마케팅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 과정 ) > 2020년 9월 - 국비지원 학원 종료 - 취업준비 시작 > 2020년 10월..
joohyukkim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